작성일
2017.02.17
수정일
2017.04.21
작성자
유전공학연구소
조회수
858

2006년도~2010년도 사업 및 과제

2006년도

-식물경구백신 기반기술 연구 / 과학기술부 (연구책임자: 양문식 교수)

-남아프리카공화국 생물공학분야 연구현황조사 및 양국과기협력방안 연구 / 과학기술부 (연구책임자: 양문식 교수외 3)  

의약용 hGM-CSF 생산 식물 세포주의 cell bank 구축기술개발 / 산업자원부 (연구책임자: 양문식 교수)  

분자육종을 이용한 생리활성조절 식물소재 개발 / 한국학술진흥재단 (연구책임자: 양문식 교수외 2)

생물공학적 단위결과 유도를 통한 하우스 작물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 / 농림부 (연구책임자: 양문식 교수외 3)

2007년도

-2007-01-01 ~ 2008-12-01 생물공학적 단위결과 유도를 통한 하우스작물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 / 농촌진흥청 84.00 백만원 ( 연구책임자 : 양문식 교수 )

-2007-09-01 ~ 2008-08-01 분자 육종을 이용한 생리활성 조절 식물소재 개발 / 한국학술진흥재단 150.00 백만원 ( 연구책임자 : 양문식 교수 )

-2007-05-01 ~ 2008-02-01 식물병원성 진균 Cryphonectria parasitica 의 병원성유전체 및 조절단백체 연구를 통한 저병원성 기작 연구 / 한국과학재단 79.00 백만원 ( 연구책임자 : 김대혁 교수 )

-2007-09-01 ~ 2008-08-01 철 결핍이 유도된 재조합 효모에 있어서 철 대사와 연관된 단백질연구 / 한국학술진흥재단 26.00 백만원 ( 연구책임자 : 김경숙 교수 )

-2007-05-01 ~ 2008-04-01 미생물에의한 고품질 DHA 생산기술 개발 / ( ) 한국산업기술재단 89.00 백만원 ( 연구책임자 : 장광엽 교수 )

2008년도

-소나무재선충 진단키트에 대한 최적 사용법 개발,(주)엘지생명과학기술연구원,(연구책임자:장용석, 유승범, 정대임)

-대학의 연구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의 기초연구 활성화 방안,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,(연구책임자:양문식,김대혁,박승문,장용석)

-치조골 리모델링 기전 및 조절인자,한국보건산업진흥원,(연구책임자:이정채,장용석)

-식물(주목,은행) 줄기세포의 항상화 항염증 활성 성분의 분리, 동정 및 생체 내 외 시스템을 이용한 효능 검증,(주)운화바이오텍,(연구책임자:장용석,국성호)

-점막면역계 항원전달 및 뎅기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 분석, 농림기술관리센터,(연구책임자:이경열, 장용석 교수)

-생물공학적 단위결과 유도를 통한 하우스작물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, 농촌진흥청(연구책임자: 양문식 교수)

-분자 육종을 이용한 생리활성 조절 식물소재 개발,한국학술진흥재단,(연구책임자:양문식 교수)

-담배형질전환 및 trafficking을 이용한 항원고발현,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,(연구책임자:양문식 교수)

-식물세포를 이용한 enterokinase의 생산기술 확립,중소기업청(연구책임자:양문식 교수 외9)

-뎅기바이러스 감염 방어를 위한 항원 유전자 형질전환 작물 개발, 농림기술관리 센타,(연구책임자:양문식 교수 외 5)

-웰빙형 장류신제품 개발 및 상품화,순창장류연구사업소(연구책임자:엄태붕 교수 외8)

-전국 각 도별 장류 제품에서 독소생산 Bicillus cereus 균수의 모니터링, 순창군청(연구책임자: 엄태붕 교수 외5)

-무독성 발효 균주 선발 및 기술이전에 의한 현장적용, 순창장류연구사업소,(연구책임자:엄태붕교수 외2)

-식물병원성 진균 Crpyhonectria parasitica의 병원성유전체 및 조절 단백질 연구를 통한 저병원성 기작 연구, 한국과학재단,(연구책임자: 김대혁교수)

-돼지 흉막폐렴균 항원발현 효모 형질 전환체 개발,서울대학교,(연구책임자: 김대혁교수 외 8)

2009년도

-점막면역계 항원전달 및 뎅기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 분석(연구 책임자: 장용석교수)

-경구백신 효율 증진 방안 및 백신 효능 검정 연구, 농림기술개발(연구 책임자: 이경열 교수)

-돼지 흉막폐렴균 항원분석 및 점막면역계 항원 targeting 기술 개발, 바이오그린21(연구 책임자: 이경열 교수)

-대장내 항염증작용의 약리기전 규명(연구책임자: 이정채)

-사료 내 유해물질이 면역세포 활성 및 작용에 미치는 영향, 국립축산과학원,(연구책임자:이정채, 장용석 교수)

-식물(주목,은행) 줄기세포의 항산화 항염증 활성 성분의 분리, 동정 및 생체 내 외 시스템을 이용한 효능 검증, (주)운화 바이오텍,(책임연구원: 장용석 교수)

-점막면역계 항원전달 및 뎅기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 분석,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,(책임연구원:이경열, 장용석 교수)

-고부가가치 단백질 생산용 형질전환 작물 개발, 농림기술관리센터,(연구책임자: 양문식, 김대혁 교수)

-식물세포를 이용한 enterokinase의 생산기술확립,(연구책임자: 양문식 교수)

-뎅기바이러스 감염 방어를 위한 항원 유전자 형질전환 작물 개발,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,(연구책임자: 양문식 교수 외 13)

-무독성 발효 균주 선발 및 기술이전에 의한 현장 적용, 순창장류연구사업소,(연구책임자: 엄태붕)

-돼지 흉막폐렴균 항원발현 효모 형질 전환체 개발,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,(연구책임자:김대혁외 3)

-항원유전자 제조 및 재조합 항원 단백질 생산, 농림기술관리센터,(연구책임자: 김대혁외5명

2010년도

-담배형질전환,바이오그린21(연구책임자: 박승문 교수)

- 항원유전자 제조 및 재조합 항원단백질 생산,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(연구책임자: 김대혁 교수)

- 식물 병원진균 Cladosporium phlei을 활용한 의료용 약리핵심소재의 생산에 관한 연구,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(연구책임자: 김대혁 교수)

-저병원성화 진균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영향 받는 사상성 진균 Cryphonectria parasitica의 병원성 관련 유전자의 신호전달 조절기작 규명, 한국연구재단(연구책임자: 김대혁교수)






첨부파일
첨부파일이(가) 없습니다.